[Packet Tracer] 1. 패킷트레이서 기초
(Week 1 - Day 4) - (1/3)
패킷트레이서

ICMP Ping
- 에코 요청과 에코 응답으로 구성되어 장치 간의 통신 상태를 확인할 때 사용
Cable
- 장치와 장치를 연결할 때 케이블 필요

Direct Cable(직선)
- 3번째 케이블
- 다른 계층의 장비는 다이렉트 케이블 사용
ex. pc(5계층) -< 다이렉트 케이블 >-라우터(3계층)
Cross Cable(점선)
- 4번째 케이블
- 같은 계층의 장비는 크로스 케이블 사용
ex. pc(5계층) -< 크로스 케이블 >- pc(5계층)
Serial DEC
- 8번째 케이블(시계 있는 빨간 번개)
- 원래 같은 계층은 크로스를 쓴다.
- 라우터들은 예외적으로 Serial DEC를 쓴다.
- 좀 더 빠르다.
- 라우터에 HWIC-2T 장치를 추가해야지 연결할 수 있다.
Ethernet
Ethernet
-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림
Fast Ethernet
- Ethernet보다 속도가 빠름
Gigabit Ethernet
- 속도가 가장 빠름
Ping Test
IP 넣기

- ipv4 address 에 입력(192.162.56.12)
- 자동으로 subnet에 255.255.255.0이 들어온다.
Ping Test 1
1. pc나 server에 ip 넣기
2. 좌측 상단 메일모양(add simple PDU) 클릭
3. 보내는 측, 받는 측 순서대로 클릭
4. 우측 하단에 상태가 뜬다.

Fire : 누르면 시도
Last Status : Successful / Failed
Source : 출발지
Destination : 도착ㅈ
Type : 메시지 종류
Color : 메시지 구분 색상(임의로 지정)
Time : 걸린 시간
Periodic : 주기적으로 계속 보내는 메시지인지 아닌지
Num : 순서
Edit : 옵션 설정
Delete : 지운다.
Ping Test 2

c:\ 있는 곳에 사진과 같이
ping 192.168.56.13 입력
(※ 만약 여기에 한글을 입력해서 그걸 지우면 지웠지만 안지운것처럼 보인다.)
장치 추가
- pc,server 등을 클릭하면, physical에 모형과 좌측에 목록이 뜬다.
- 전원버튼을 눌러 전원을 꺼준다.
- 장치를 빈 공간에 드래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