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 1 - Day 3) - (1/3)
1. 확장성
- IP 주소를 무작위로 배정하게 되면 라우터 안의 포워딩 테이블은 기하급수적으로 커지게 됨
- 포워딩 속도가 느려지고 스케일이 커짐으로 인한 문제 발생
- IP 주소를 용도에 따라 대역을 나눠줘야 할 필요성이 존재
2. 서브넷 마스크 / Prefix
- 같은 대역임을 알려주는 역할
- ip를 질서있게 설정하여 라우터들의 포워딩 테이블을 줄이고 포워딩 속도를 빠르게 한다.
- ip 주소 추가를 쉽게한다.
2.1. 서브넷 마스크
- 255.255.255.0 으로 지정할 수 있음
2.2. Prefix
- ip 주소 뒤에 /24 로 표기할 수 있음
- 프리픽스의 숫자가 1 증가하면 ip 대역이 2분할된다.
3. 서브넷
- 같은 프리픽스를 가진 장치들의 집합
- 같은 서브넷에 있다는 표현을 사용
4. NAT
- Network Address Translation
- 계기 : IPv4 주소 부족
- IPv4 주소를 한 명만 사용하는 것이 아닌 하나의 주소를 여러 명이 공유하는 기술
- 라우터들은 보통 공인 ip 주로 사용
- 사용자들은 보통 사설 ip 주로 사용
(10.0.0.0 대역 / 192.168.0.0 대역)
5. DHCP
- 자동으로 IP 주소를 배정해주는 프로토콜
- DHCP 서버 : ip들을 가지고 있는 서버
5.1. DHCP 시나리오
1. 클라이언트 측에서 ip 주소 할당을 위해 서버에 요청(DHCP discover)
src : 0.0.0.0, 68 | ip가 없는 상태, 포트 번호 |
dest : 255.255.255.255, 67 | DHCP 서버를 찾아야 함, 포트 번호 |
yiaddrr : 0.0.0.0 | 할당 받은 ip 주소가 없는 상태 |
transaction ID : 654 | 클라이언트가 랜덤으로 선택한 ID |
2. 서버 측에서 응답(DHCP offer)
src : 223.1.2.5, 67 | 서버의 IP 주소, 포트 번호 |
dest : 255.255.255.255, 68 | 아직 클라이언트의 존재를 모름, 포트 번호 |
yiaddrr : 223.1.2.4 | 할당할 ip 주소를 지니고 있음 |
transaction ID : 654 | 클라이언트가 랜덤으로 선택한 ID |
lifetime : 3600 secs | 해당 ip를 사용할 수 있는 시간 |
3. 클라이언트 측에서 응답(DHCP request)
src : 0.0.0.0, 68 | 아직 ip 할당받지 못함, 포트 번호 |
dest : 255.255.255.255, 67 | 서버 측에 브로드캐스트로 통신, 포트 번호 |
yiaddrr : 223.1.2.4 | 클라이언트 측에서 자신이 할당받은 ip 주소 인지 |
transaction ID : 655 | 다른 ID를 사용 |
lifetime : 3600 secs | 해당 ip를 사용할 수 있는 시간 인지 |
4. 서버 측에서 클라이언트 측으로 ip 할당해줌(DHCP ACK)
src : 223.1.2.5, 67 | 클라이언트는 앞으로 3600초동안 223.1.2.4 ip 주소 사용 |
dest : 255.255.255.255, 68 | |
yiaddrr : 223.1.2.4 | |
transaction ID : 655 | |
lifetime : 3600 secs |
6. ICMP
-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네트워크 상에서 통신이 가능한지 확인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 ping 명령어 사용
ex) 구글과 통신이 잘 되는지 확인하기
cmd -> ping 203.130.111.154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9. OSI 7계층 / TCP 5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0) | 2022.07.13 |
---|---|
[Network] 8. OSI 7계층 / TCP 5계층 - (네트워크 계층과 라우터) (0) | 2022.07.13 |
[Network] 6. OSI 7계층 / TCP 5계층 (네트워크 계층과 IP) (0) | 2022.07.12 |
[Network] 5. OSI 7계층 / TCP 5계층 (TCP) (0) | 2022.07.12 |
[Network] 4. OSI 7계층 / TCP 5계층 (RDT Protocol) (0) | 2022.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