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cket Tracer] 5.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 - (EIGRP)
2022. 7. 15. 16:38
Network
(Week 1 - Day 5) - (2/2) EIGRP - IGRP의 업그레이드 - 라우터도 운영체제를 탑재함 (IOS) - IGRP는 IOS 12.2 이후부터는 지원되지 않음] - 현재 사용되는 라우터는 대부분 12.4 or 15.0 이후를 사용중 RIP와의 차이 - RIP는 혹 수를 이용하여 거리 계산 ( ※ 홉 수 : 경로를 가기 위해 거쳐야하는 장치의 개수 ) - EIGRP는 토폴로지 테이블 보유 - 특정 네트워크에 도달할 수 있는 여러 경로 정보가 있는데, 해당 경로들 중에서 DUAL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가장 좋은 경로를 선출하고 라우팅 테이블에 등록 DUAL DUAL을 위한 라우터 간의 업데이트 순서 1. 토폴로지에서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던 gi0/0이 다운된 상황 2. 해당 상황을 인접한 ..
[Packet Tracer] 4.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 - (RIP)
2022. 7. 15. 12:43
Network
(Week 1 - Day 5) - (1/2) RIPv1 - 클래스 폴 라우팅 프로토콜 - 서브넷마스크라는 개념이 적용되지 않음 - 같은 클래스 폴끼리만 통신 가능 클래스 폴 범위 - A(1.1.1.0~126.0.0.0) / 8 - B(128.0.0.0 ~ 191.255.255.255) / 16 - C(192.0.0.0 ~ 223.255.255.255) / 24 - D(224.0.0.0 ~ 239.255.255.255) - E(240.0.0.0 ~ 255.255.255.255) RIPv1 과정 0. PC, 라우터 세팅(케이블 연결, ip주소 입력) 1. R0에 연결된 IP 입력 R0(config)#router rip R0(config-router)# R0(config-router)#network 203.2..
[Packet Tracer] 3. 네트워크 망 형성
2022. 7. 14. 19:37
Network
(Week 1 - Day 4) - (3/3) 정적 경로 설정 IP 설정 - PC와 라우터에 각각 IP 주소를 넣어준다. 케이블 연결 - 각 역할에 맞게 케이블 연결 - 같은 계층은 크로스 케이블 사용 - 라우터 끼리는 예외적으로 Serial DEC 사용 - 다른 계층은 다이렉트 케이블 (각 케이블에 초록불이 들어오면 연결은! 완료, 통신은 불가!) 라우팅 추가 설정 관리자 모드에서 show ip route 입력 L : 자기 자신 C : 직접 연결되어 있다. 연결을 하기 위해서 필요한 대역이 없다. 203.230.9.* 대역과 203.230.10.8 그리고 203.230.11.* 대역은 모른다. - ip route 로 경로 입력 (※ 삭제는 no ip route 입력하면 된다.) (마찬가지로 연결은 완료된..
[Packet Tracer] 2. 라우터
2022. 7. 14. 19:04
Network
(Week 1 - Day 4) - (2/3) 라우터 설정 - 라우터 클릭 - CLI - no 입력 관리자 모드(enable) Router>enable (enable / en 입력) Router# (>가 #으로 바뀐다.) 간단한 설정과 라우터 동작에 대한 설정 내용을 확인 할 수있다. 전역 설정 모드(configure terminal) Router#configure terminal Router(config)# 관리자 모드 상태에서 입력해야 들어가진다. 라우터 이름 변경 Router(config)#hostname R1 R1(config)# 라우터의 내용을 저장 안하면 작성했던 내용 사라질 수 있으니 잊지말고 할 것!! Router#wr Building configuration 내용 확인 show startu..
[Packet Tracer] 1. 패킷트레이서 기초
2022. 7. 14. 18:37
Network
(Week 1 - Day 4) - (1/3) 패킷트레이서 ICMP Ping - 에코 요청과 에코 응답으로 구성되어 장치 간의 통신 상태를 확인할 때 사용 Cable - 장치와 장치를 연결할 때 케이블 필요 Direct Cable(직선) - 3번째 케이블 - 다른 계층의 장비는 다이렉트 케이블 사용 ex. pc(5계층) --라우터(3계층) Cross Cable(점선) - 4번째 케이블 - 같은 계층의 장비는 크로스 케이블 사용 ex. pc(5계층) -- pc(5계층) Serial DEC - 8번째 케이블(시계 있는 빨간 번개) - 원래 같은 계층은 크로스를 쓴다. - 라우터들은 예외적으로 Serial DEC를 쓴다. - 좀 더 빠르다. - 라우터에 HWIC-2T 장..
[Network] 9. OSI 7계층 / TCP 5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2022. 7. 13. 18:53
Network
(Week 1 - Day 3) - (3/3) 데이터 링크 계층 - 전송한 패킷이 어떻게 다음 게이트웨이까지 갈 것인지를 다룸 - 여러명의 사용자가 하나의 게이트웨이로 패킷을 보낼 수 있음 - 고로,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충돌 방지/ 충돌 방생시 대처이다. - OS 내부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트랜스포트나 네트워크 계층과는 달리 데이터 링크 계층은 하드웨어 안에 구현한다. 데이터 링크 계층 전송 방식 Point-to-Point - 전용선으로 연결되어서 아무런 충돌없이 사용하는 방식 Broadcast - 실제로 전체 구성원에게 전달을 하는 역할 - MAC(Media Access Control)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원하는 곳으로 안전하게 전송 ARP - Address Resolution P..
[Network] 8. OSI 7계층 / TCP 5계층 - (네트워크 계층과 라우터)
2022. 7. 13. 18:46
Network
(Week 1 - Day 3) - (2/3) 라우터 - 중간 통신 역할 수행 라우팅 알고리즘 - 라우터에 들어간 기능 - 포워딩 테이블을 만들 때 사용 라우팅 알고리즘 종류 링크 상태 알고리즘 - 중간 라우터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링크 정보를 브로드캐스트로 전체에게 알려줌 거리 벡터 알고리즘 - 이웃과 정보를 교환하는 방식 - 이웃과의 이동 비용을 알 수 있음 경로 설정 방법 수동 - 정적 라우팅 - 관리자가 수동으로 경로를 입력 - 소규모 망에서 주로 사용 동적 - 동적 라우팅 - 라우터가 결정하는 방식 링크 상태 알고리즘 - 라우터들이 경로들을 인지 - 효율적인 경로를 정하는 건 다른 문제 - 거리 비용 계산 값을 포워딩 테이블에 채워놓음 -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사용 AS(자치 시스템) - 네트워크..
[Network] 7. OSI 7계층 / TCP 5계층 - (네트워크 계층과 IP 어드레스)
2022. 7. 13. 18:36
Network
(Week 1 - Day 3) - (1/3) 확장성 - IP 주소를 무작위로 배정하게 되면 라우터 안의 포워딩 테이블은 기하급수적으로 커지게 됨 - 포워딩 속도가 느려지고 스케일이 커짐으로 인한 문제 발생 - IP 주소를 용도에 따라 대역을 나눠줘야 할 필요성이 존재 서브넷 마스크 / Prefix - 같은 대역임을 알려주는 역할 - ip를 질서있게 설정하여 라우터들의 포워딩 테이블을 줄이고 포워딩 속도를 빠르게 한다. - ip 주소 추가를 쉽게한다. 서브넷 마스크 - 255.255.255.0 으로 지정할 수 있음 Prefix - ip 주소 뒤에 /24 로 표기할 수 있음 - 프리픽스의 숫자가 1 증가하면 ip 대역이 2분할된다. 서브넷 - 같은 프리픽스를 가진 장치들의 집합 - 같은 서브넷에 있다는 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