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 1 - Day 4) - (3/3)

정적 경로 설정

예시) pc, router 기본 정보

IP 설정

- PC와 라우터에 각각 IP 주소를 넣어준다.

케이블 연결

- 각 역할에 맞게 케이블 연결

- 같은 계층은 크로스 케이블 사용

- 라우터 끼리는 예외적으로 Serial DEC 사용

- 다른 계층은 다이렉트 케이블

(각 케이블에 초록불이 들어오면 연결은! 완료, 통신은 불가!)

 

라우팅 추가 설정

관리자 모드에서 show ip route 입력

show ip route

L : 자기 자신

C : 직접 연결되어 있다.

연결을 하기 위해서 필요한 대역이 없다.

203.230.9.* 대역과 203.230.10.8 그리고 203.230.11.* 대역은 모른다.

 

- ip route 로 경로 입력

ip route

(※ 삭제는 no ip route 입력하면 된다.)

 

(마찬가지로 연결은 완료된다. 하지만 여전히 통신은 불가!)

 

Gateway 설정

- PC 패킷이 어디로 가야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없다.

- Gateway를 입력해줘서 경로를 잡아준다.

Default Gateway에 각 PC에 연결되어있는 라우터를 Gateway로 지정해준다.

 

설정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소요될 가능성이 높다. ping test를 시도하고 조금 기다리자.

디폴트 정적 경로

- 출입 경로가 하나 밖에 없는 경우 사용

- 외부 어디로든 통하기 위해서 해당 출입문 하나를 사용하면 된다.

- 디폴트 정적 경로 설정을 위해서 기존 정적 경로 설정은 모두 제거해야한다.i

ip route 0.0.0.0 0.0.0.0 203.230.6.1
-> 외부로 나가는 것이 어떤 것이든지 상관 없이 나가는 위치는 203.230.6.1로 한다.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

- 네트워크 통신 장비들끼리 약속을 한다.

- 약속을 한 통신끼리는 자동으로 거리 계산뿐 아니라 통신도 한다.

- 주기적으로 라우터 간에 라우터 정보를 업데이트 한다.

- 장점이 많은 프로토콜이다.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 종류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

- RIP, IGRP, EIGRP

- 사용하는 장비들은 타이머가 설정된다.

- 수/중규모 네트워크 망에서 사용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 동작 순서

1. R0에서 자신과 인접한 네트워크 정보를 업데이트한 후 자신의 정보를 R1에게 전달

- R1에서 모르는 203.230.7.0 대역만 업데이트

 

2. R1이 자신이 알고 있는 네트워크 정보를 R2와 R0에게 전달

- R4에서 모르는 203.230.7.0 대역과 203.230.8.0 대역을 업데이트

- R0에서 모르는 203.230.9.0 대역을 업데이트

 

3. R2에서 자신의 정보를 R1에게 전달

- R1에서 모르는 203.230.10.0 대역을 업데이트

 

4. R0에서 자신의 정보를 R1에게 전달

- R1은 모르는 정보가 없기 때문에 업데이트 X

 

5. R1이 자신이 알고 있는 네트워크 정보를 R2R0에게 전달

- R0에서 모르는 203.230.10.0 대역을 업데이트

 

문제점

- 모든 라우터들이 모든 정보를 알 때까지 통신을 못한다.

- 2단계에서 R1은 모든 정보를 알지만 R0와 R2가 모든 정보를 알지 못하기에

통신을 할 수 없다.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

- 인접한 라우터들이 비용을 받아 거리를 계산해서 보낸다.

- 모든 정보를 알지는 못한다.

- 거리 계산을 하는데에 시간이 걸린다.

- 계산만 잘 해준다면 어디든지 빠르게 보낼 수 있다.

- 대규모 네트워크 망에서 주로 사용

 

 

복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