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 2 - Day 2) - (2/2)

주요 디렉토리

디렉토리 설명
bin 시스템의 명령어가 위치하는 디렉토리
sbin 시스템 관리 명령어가 위치하는 디렉토리
dev 하드웨어 장치 파일 위치
etc 시스템 구성 파일 저장
home 일반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가 위치
root root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
run 시스템의 런타임 데이터 저장
boot 부팅 관련 디렉토리
tmp 임시파일 저장
usr 설치된 소프트웨어 파일 및 라이브러리 파일이 위치
var 시스템의 가변 데이터 저장 / 실행되기 위해 참조, 저장해야 하는 데이터, Log 데이터 -> 중요하다.

- 운영체제는 혼자서 실행이 안돼서 부트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 편리함을 생각해서 바로 root 사용자로 작업을 들어가면 위험하다.

  꼭 필요할 때만 권한을 취득한 후 사용하자.

- 문제 발생 시 log데이터를 먼저 확인해보는 습관을 가져야한다.

 

Tree Package

sudo yum install tree

파일의 구조를 가변성 있게 확인 할 수 있다.

 

pwd

- 디렉토리 경로 확인

cd

- 디렉토리 이동

cd [디렉토리명] : 해당 디렉토리로 이동

cd :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

절대경로

- 루트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파일 경로를 지정

(cd /usr/bin)

상대경로

- 작업 디렉토리(현재)를 기준으로 파일 경로를 지정

(cd ../bin)

. : 현재 디렉토리

.. : 부모 디렉토리

 

파일 내용 확인

cat 파일 내용 전체 확인
head 파일의 전반부 확인
tail 파일의 후반부 확인
more/less 파일 내용 전체 확인
grep 파일 내용에서 문자열 검색

ls

- 디렉토리에 있는 내용을 확인

ls -a : 숨김파일을 포함하여 모든 파일의 목록을 출력합니다.

ls -d : 현재 디렉토리의 정보를 출력합니다.

ls -l : 파일의 상세정보를 출력합니다.

ls -i : 첫번째 행의 inode 번호를 출력합니다.

ls -F : 파일의 종류를 표시합니다.

ls -R : 하위 디렉토리의 목록까지 모두 출력합니다.

 

파일 관리 명령어

mkdir 디렉토리 생성
touch 빈 파일 생성
mv 파일 및 디렉토리 이동
cp 파일 및 디렉토리 복사
rm 파일 및 디렉토리 삭제
stat 파일 상세정보 확인(MAC Timestamp)
file 파일 양식 확인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4. 파일 입출력  (0) 2022.07.20
[Linux] 3. 파일 및 디렉토리 관리  (0) 2022.07.20
[Linux] 1. 기본 명령어  (0) 2022.07.19
[Linux] 0. 리눅스를 위한 도구 설치  (0) 2022.07.19
[Linux] 0. 리눅스 기초  (0) 2022.07.19
복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