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 6 - Day 1) - (1/2)
클라우드 컴퓨팅
- Cloud Computing
인터넷이라는 통신 서비스를 활용한 컴퓨팅 서비스 종류의 하나로 개인용 컴퓨터가 아닌,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원격 컴퓨터를 활요하는 기술
이용 방식
IaaS
-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물리적 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를 가상화하여 다수의 고객을 대상으로 유연하게 제공하는 인프라 서비스
PaaS
- Platform as a Service
- Web 기반의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 등의 개발 및 실행을 위한 표준 플랫폼 환경을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서비스
SaaS
- Software as a Service
- 응용프로그램을 인터넷 및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
AWS
- Amazon Web Services
- 아마존의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
주요 서비스
서비스 이름 | 중요 서비스 | 설명 |
컴퓨팅 서비스 | EC2 | 가상화 서버, 다양한 형태의 타입과 서비스에 따라 적합한 사양 선택 가능, 사용량만큼 비용을 지불 |
네트워킹 서비스 | Route 53 | 가용성과 확장성이 우수한 클라우드 기반의 DNS 웹 서비스, 사용자의 요청을 AWS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인프라에 효과적으로 연결 가능 |
스토리지 서비스 | S3 | 범용적 스토리지 서비스, 데이터 보관 외에도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 및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로 활용 가능 |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 RDS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들을 사용자가 직접 관리하지 않고,Amazon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
분석 플랫폼 | Kinesis | 대량의 데이터를 저장 분류할 수 있는 서비스 |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 CloudSearch | 검색 서비스 |
클라우드 용어
AWS는 전세계를 대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주요 지역에 IDC(Internet Data Center)를 자체적으로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 환경을 크게 리전(Region), 가용 영역(Availabillity Zone), 엣지 로케이션(Edge Location)으로 구분할 수 있다.
Amazon EC2
- Elastic Compute Cloud
- AWS 상에서 안정적이며, 크기를 조정 가능한 컴퓨팅 파워를 제공하는 웹 서비스
- 인스턴스(Instance) : 가상화 서버, 필요에 따라 한개에서 수천 개의 인스턴스로 손쉽게 컴퓨팅 파워 확장 가능
Amazon EC2 실습
서버 생성
인스턴스 시작
AMI 설정
- Amazon Machine Image
키 페어 설정
새 키 페어 생성을 통해 키를 다운받아야 한다.
한 번 다운받으면 추후에 같은 AMI를 쓰게 될 상황에서 재사용이 가능하다.
유출되면 매우 위험해진다.
네트워크 설정
- 그 외 설정은 내용을 보고 판단하자
Linux 인스턴스 접속
인스턴스 생성
- 생략
키 페어 설정
- 설정하기에 앞서 putty를 다운받아야 한다.
- putty와 puttygen을 패키지가 아닌 개별적으로 다운받는다.
puttygen
- 다운받은 키 페어를 넣어서 바꾼다.
- pem -> ppk
Putty
테스트
sudo -i # 관리자 모드
yum -y install httpd # 테스트를 위한 httpd 설치
echo "test page" > /var/www/html/index.html
systemctl start httpd # 시스템 시작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5. AWS 데이터베이스 서버 (0) | 2022.08.18 |
---|---|
[AWS] 4. AWS 네트워크 - VPC (0) | 2022.08.17 |
[AWS] 3. AWS CLI (0) | 2022.08.17 |
[AWS] 2. AWS 기본 (스토리지) (0) | 2022.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