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2. AWS 기본 (스토리지)
2022. 8. 16. 19:23
AWS
(Week 6 - Day 1) - (2/2) 스토리지 - 컴퓨터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의 역할을 수행하는 부품 - 스토리지를 서버에 직접 연결할 수 있고,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별도의 스토리지용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도 있다. 데이터 백업 - 데이터가 손상되거나 유실되는 것을 대비하여 데이터를 복사하고 다른 곳에 저장하는 것 - 혹시나 하는 문제에 대비해서 백업을 생활화 해야 한다. 스냅샷 - 기술적인 용어로, 특정 시간에 데이터 저장 장치의 상태를 별도의 파일이나 이미지로 저장하는 기술 - 스냅샷 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젖아하면 유실된 데이터 복원과 일정 시점의 상태로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 운영 관리 비용 최소화 가능 Amazon S3 - Simple Storage Service..
[AWS] 1. AWS 기본 (소개, 서버)
2022. 8. 16. 18:20
AWS
(Week 6 - Day 1) - (1/2) 클라우드 컴퓨팅 - Cloud Computing 인터넷이라는 통신 서비스를 활용한 컴퓨팅 서비스 종류의 하나로 개인용 컴퓨터가 아닌,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원격 컴퓨터를 활요하는 기술 이용 방식 IaaS -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물리적 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를 가상화하여 다수의 고객을 대상으로 유연하게 제공하는 인프라 서비스 PaaS - Platform as a Service - Web 기반의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 등의 개발 및 실행을 위한 표준 플랫폼 환경을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서비스 SaaS - Software as a Service - 응용프로그램을 인터넷 및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 AWS - Ama..
[Linux] 27. MariaDB
2022. 8. 12. 19:07
Linux
(Week 5 - Day 5) - (2/2) 데이터베이스 -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여 사용할 목적으로 데이터를 체계화하여 통합, 관리하는 데이터의 집합체 - 데이터의 저장 공간 - 종류로는 관계형, 계층형, NoSQL 데이터베이스 등이 있다. 단위 Database : 저장소에 구분되는 가장 큰 단위 Table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해 구성하는 첫 단계 Column(=Field)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행을 구분하는 기준 Row(=Record) : 데이터를 저장하는 값으로 칼럼 내의 하나의 값 id name email phone 필드 이름 1 Moya moya@nobreak.co.kr 010-1111-1111 레코드(로우) 2 Suk suk@nobreak.co.kr 010-2222-2222 3 K..
[Linux] 26. Apache 웹 서버 - (가상 호스트_IP 기반 ~)
2022. 8. 11. 18:46
Linux
(Week 5 - Day 4) - (2/2) (Week 5 - Day 5) - (1/2) IP 기반 가상 호스트 - 1 - IP-Based Virtual Host Virtual Host 웹 사이트 설정파일 설정 cd /etc/httpd/conf.d vim ip-192.168.56.111.conf # 이름이라서 아무렇게 지어도 된다. 웹 사이트 DocumentRoot 생성 및 웹 페이지 생성 cd /var/www mkdir ip-site1 cd ip-site1 echo "192.168.56.111 ip-vhost" > index.html IP 주소 추가 nmcli connection modify static2 +ipv4.address 192.168.56.111/24 # ipv4 앞에 +가 있으면 ip주소 ..
[Linux] 25. Apache 웹 서버(~ 가상 호스트_이름 기반)
2022. 8. 11. 14:32
Linux
(Week 5 - Day 4) - (1/2) 웹 서버 - Apache Webserver - nginx - Microsoft IIS(Windows Server) 웹 서버 구성 패키지 설치 yum install httpd 확인 ls -l /etc/httpd 서버 파일 설정(필요 시) 이동 cd /etc/httpd ls -l 편집기 vim httpd.conf ServerRoot 웹 서버의 기본 디렉토리 위치를 지정 Listen 웹 서버가 페이지 요청을 수신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포트를 지정 Include 주 설정 파일 외에 추가 설정을 가지고 있는 다른 파일을 설정에 포함시키는 지시어 User, Group 웹 서버 프로세스를 구동할 사용자와 그룹을 지정하는 지시어 ServerAdmin 웹 서버 에러 발생 ..
[Linux] 24. iSCSI 블록 스토리지
2022. 8. 10. 18:47
Linux
(Week 5 - Day 3) - (2/2) iSCSI 네트워크를 통해 block storage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Storage 스토리지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스토리지 혹은 저장 기술을 의미한다. Storage 종류 DAS - Direct Attached Storage Storage와 시스템이 직접 케이블로 연결되는 Storage NAS - Network Attached Storage Storage와 시스템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Storage SAN - Storage Area Network NAS 방식과 비슷하게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Storage이다. 하지만 네트워크 연결에 있어서 스토리지 전용으로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별도로 가진다. (고속 네트워트 FC Switch를 사용) 별도의 연결망 사..
[Linux] 23. NFS 스토리지
2022. 8. 10. 18:35
Linux
(Week 5 - Day 3) - (1/2) NFS 스토리지 - Network File System 분산 파일 시스템 프로토콜 NFS를 사용하면 윈도우의 공유 폴더처럼 파일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어 파일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NFSv3 안전한 비동기식 쓰기 지원 NFSv2에 비해 에러에 대한 처리 능력 향상 2GB 이상의 파일에 접근 가능 RPC 서비스에 의존하기에 rpcbind가 필요하다. NFSv3 관련 서비스가 다양해 방화벽 설정이 복잡하다. NFSv3 관련 서비스 서비스 설명 nfs 공유된 NFS 서버에 대한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NFS 서버와 적절한 RPC 프로세스를 실행 nfslock NFS 서버의 파일을 클라이언트가 잠금 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rpcbind 로컬 RPC 서비스로..
[Linux] 22. FTP 서버
2022. 8. 9. 18:29
Linux
(Week 5 - Day 2) FTP - File Transfer Protocol -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 사용 포트 데이터 포트 데이터를 주고 받는 용도로 사용하는 포트 액티브 모드에서는 20번 포트 사용 / 패시브 모드에서는 1024번 이상의 포트 중에 임의의 포트 지정 후 사용 제어 포트 상대방의 연결을 기다리거나 연결을 시도하고 다른 장치와 연결을 맺고 명령어 전달에 사용 21번 포트 사용 동작 모드 액티브 모드 1단계 : 클라이언트에서 서버 측으로의 요청(21번 포트 사용) 2단계 : 서버 측에서 클라이언트 측으로 직접 연결 시도(20번 포트 사용) 방화벽으로 인해 연결 거부가 빈번히 발생 고로, 요즘은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 패시브 모드 액티브 모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