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7. 아카이브 및 압축
2022. 7. 21. 18:39
Linux
(Week 2 - Day 4) - (2/2) 압축 & 아카이브 여러 파일을 하나로 합치는 것(concat) (A, B, C파일을 X라는 하나의 파일로 생성 ⇒ 1m1m1m → 3m) 압축은 파일을 읽고 자주반복되는 구문을 찾아 줄인다. (기본적 원리 ABC → X ⇒ X=ABC 풀때 X → ABC) tar는 아카이브 zip은 압출(gzip, bzip2, xz) Tar - tape archive - tape는 아직도 사용한다. - 백업에 많이 사용된다. - 서버에 백업용으로 LTO를 사용하고 단가가 엄청나게 저렴하다. - Tape은 매우 느리지만 이동이 쉽고 보관이 용이하다. dd if=/dev/zero of=file1 count=1 bs=1M # ( if => inout / of=> output / bs..
[Linux] 6. Process Control (상태, 전달, 신호, 우선순위)
2022. 7. 21. 17:59
Linux
(Week 2 - Day 4) - (1/2) Program vs Process Program - Disk에 저장되어 있는 실행파일 App을 Program이라고 한다. - 윈도우에서는 exe가 해당 - 실행된 Program은 메모리에 적재된다. Process - 메모리에 적재된 프로그램을 Process라는 단위로 커널이 관리 - Program을 실행시켜서 메모리에 적재된 것을 Process라고 한다. Daemon - 커널이 실행하는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Thread - 프로세스는 반드시 하나 이상의 Thread를 가진다. - Thread = 프로세스 내에서 실행되는 작업의 단위 프로세스 상태 확인 uptime load average : 부하 평균 -1min 5min 15min 까지의 평균 부하를 표시한다. ..
[Linux] 5. Process Control
2022. 7. 20. 18:57
Linux
(Week 2 - Day 3) - (3/3) 프로세스 개요 프로세스 -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메모리에 로드된 상태 부모 프로세스 - bash라고 생각하면 된다. - 자식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작업을 처리 자식 프로세스 - 부모 프로세스에 의해 생성되어 작업 완료 후 자원 해제 고아 프로세스 - Orphan Process로 번역 시 어감이 많이 이상하지만 존재하는 용어이다. - 부모 프로세스가 없는 프로세스(있으면 이상한거다.) - 보통은 init프로세스가 대리 부모가 되지만 이것도 안된다면 Zombie가 된다. Zombie - CPU 사용량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 다른 정상적인 프로세스가 작업을 하지 못함. 정리 - 모든 프로세스의 부모는 1번 프로세스이다. - 부모 프로세스가 죽으면 자식 프로세스도 죽..
[Linux] 4. 파일 입출력
2022. 7. 20. 18:46
Linux
(Week 2 - Day 3) - (2/3) 표준 입출력 번호 채널 이름 설명 장치 0 stdin 표준 입력 키보드 1 stdout 표준 출력 모니터(터미널) 2 stderr 표준 에러 모니터(터미널) 리다이렉션 - 프로세스의 입력 혹은 출력 대상을 변경하는 방법이다. - 일반적으로는 출력 값을 파일로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메타문자 기능 표준 출력 재지정(덮어쓰기) >> 표준 출력 재지정(이어쓰기) 2> 표준 에러 재지정(덮어쓰기) 2>> 표준 에러 재지정(이어쓰기) >& 출력 & 에러 재지정(덮어쓰기) >>& 출력 & 에러 재지정(이어쓰기) 중요 : 꺽쇠 기준 왼쪽은 프로세스, 명령어가 들어와야 하고 오른쪽은 파일이 들어와야 한다. 파이프와 티 파이프 - 두 개 이상의 명령어를 함께 사용한다. -..
[Linux] 3. 파일 및 디렉토리 관리
2022. 7. 20. 18:30
Linux
(Week 2 - Day 3) - (1/3) RegExr https://regexr.com/ RegExr: Learn, Build, & Test RegEx RegExr is an online tool to learn, build, & test Regular Expressions (RegEx / RegExp). regexr.com https://en.wikipedia.org/wiki/Regular_expression Regular expression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Sequence of characters that forms a search pattern "Regex" re..
[Linux] 2. 파일 및 디렉토리 관련 명령어
2022. 7. 19. 18:52
Linux
(Week 2 - Day 2) - (2/2) 주요 디렉토리 디렉토리 설명 bin 시스템의 명령어가 위치하는 디렉토리 sbin 시스템 관리 명령어가 위치하는 디렉토리 dev 하드웨어 장치 파일 위치 etc 시스템 구성 파일 저장 home 일반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가 위치 root root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 run 시스템의 런타임 데이터 저장 boot 부팅 관련 디렉토리 tmp 임시파일 저장 usr 설치된 소프트웨어 파일 및 라이브러리 파일이 위치 var 시스템의 가변 데이터 저장 / 실행되기 위해 참조, 저장해야 하는 데이터, Log 데이터 -> 중요하다. - 운영체제는 혼자서 실행이 안돼서 부트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 편리함을 생각해서 바로 root 사용자로 작업을 들어가면 위험하다. 꼭 필요할 때..
[Linux] 1. 기본 명령어
2022. 7. 19. 18:27
Linux
(Week 2 - Day 2) - (1/2) Before 리눅스 시스템 기본 환경 리눅스 배포판(Distribution) - kernel + app 크게 데비안과 레드햇으로 나뉜다. (본인은 CentOS 7 사용예정) 리눅스 로그인 CLI - Command line interface - 기본 사용환경이고 자동화, 명령어 위주이기에 불필요한 리소스를 쓰지 않는다. GUI - 편의 제공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환경 제공 - 서버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cuz, 서버에서는 영상 시청, 문서 작성이 필요없기 때문이다. 본인은 당연히 CLI를 사용한다. 명령어 기본 구조 Command [option] [argument] command :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 이름 - (/usr/bin, /usr/sbin, /bin..
[Linux] 0. 리눅스를 위한 도구 설치
2022. 7. 19. 17:59
Linux
(Week 2 - Day 1) - (2/2) Virtualbox - 설치 - 가상컴퓨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 Vagrant와의 충돌 가능성이 있으니 virtualbox에서 설정은 건드리지 않기로 한다. Vagrant - 설치 후 재부팅 세팅 powershell에서 작업을 하게 된다.(cmd 말고 powershell을 사용하자) > mkdir -p vagrant/linux : 디렉토리 생성 > cd vagrant/linux : 디렉토리 이동 > vagrant init generic/centos7 : Vagrantfile 생성 > vagrant up : VM 생성/부팅 - Vagrantfile이 없으면 실행이 안된다. > vagrant status : VM 상태확인 > vagrant halt : VM..